1. 캔들 데이터란?

특정 기간(분, 시간, 일, 월)을 기준으로 시점별로 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의미합니다. 위 차트에서 보이는 값들이죠. 캔들 대신 ‘봉’이라는 말로 자주 쓰이죠.
캔들(봉) 데이터를 통해서 과거, 현재의 가격 변동을 알 수 있습니다.

우선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일(Day)봉 데이터를 조회해 보겠습니다.

2. 요청(Request) 데이터 구성(1)

  • 요청주소(URL) : https://api.bithumb.com/v1/candles/days
  • 요청방식(Method) : GET

먼저 HTTP Make a request 모듈을 하나 추가해줍니다.

URL, Method 를 입력해주시고 Body type과 Conetent type도 Raw 와 JSON(application/json)으로 선택해줍니다.

Body type 과 Conetent type 항상 동일하니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그냥 그대로 설정해주세요.

결과값을 가공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 마찬가지로 Parse response값도 Yes로 설정해줍니다.

3. 요청(Requsest) 데이터 구성(2)

어떤 종목에 대한 일봉(캔들) 데이터를 요청할 것인지 설정해야합니다. 요청 데이터를 어떻게 구성할지는 빗썸 API 문서를 참조해야합니다.

https://apidocs.bithumb.com/reference/%EC%9D%BCday-%EC%BA%94%EB%93%A4

우리는 이중에 우선 market 필드와 count 필드만 다루면 됩니다. 사실 count 필드도 크게 필요없고 가장 중요한 것은 market 필드입니다.

Query String 부분에 “Add parameter”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값을 입력할 수 있게 활성화 됩니다.

가장 중요한것이라 말씀드렸던 market 필드에 비트코인(KRW-BTC) 마켓코드를 입력해줍니다.

Add parameter 버튼을 한번 더 눌러서 count 필드도 입력해줍니다.

여기까지 잘 따라오셨습니까?

실행하기전에 HTTP 모듈을 우리가 어떻게 설정했는지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요청 주소(URL) : https://api.bithumb.com/v1/candles/days
  2. 요청 마켓종목 : KRW-BTC
  3. 캔들 갯수 : 1개

4. 결과값 (Response) 확인

Status Code가 200인것을 보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습니다.

결과(Response) 데이터의 Data부분에 값을 살펴봅시다. 우리가 요청한대로 비트코인(KRW-BTC)의 일봉 캔들 데이터가 1개(count=1)의 보입니다.

2024년 11월 8일 일봉 캔들의 시가(opening_price), 종가(trade_price), 고가(high_price), 저가(low_price) 필드들이 보입니다.

5. 30일간의 일봉 데이터 조회

이번에는 30일전 부터 현재까지의 일봉 캔들 데이터를 가져와 보겠습니다.
Query String 부분의 count 필드를 30으로 입력합니다.


일봉 데이터를 30개 (30일전 ~ 현재)까지 가져오라는 뜻이지요.

실행 후 결과(Response) 데이터를 보면 총 30개 결과값이 보입니다.

확인을 위해 1번 데이터와 30번 데이터를 확인해보겠습니다.

1번 데이터(가장 최근)

candle_date_time_kst 필드에 2024-11-08T00:00:00 이라고 보이시죠?
현재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시점이 2024년 11월 8일 오후 3시입니다.

우리는 캔들 데이터에서 1번 데이터가 가장 최근(현재)의 값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30번 데이터를 확인해봅시다.

30번 데이터(가장 오래된 데이터)

candle_date_time_kst (캔들기준시각) 2024-10-10T00:00:00 이라고 보이시죠?

실제 빗썸 홈페이지에서 2024년 10월 10일 캔들 차트의 수치와 비교해보면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 시가(opening_price) : 83,749,000원
  • 고가(high_price) : 84,350,000원
  • 저가(low_price) : 81,917,000원
  • 종가(trade_price) : 82,320,000원

5. 현재가

우리가 거래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가격입니다. 캔들 데이터로 우리는 현재가를 알 수 있습니다. 어떤 값이 현재가를 의미할까요?

바로 가장 최근(1번 데이터)의 종가(trade_price)입니다.

1번 데이터의 캔들 생성 시점은 0시로 나와있지만 이는 해당 캔들이 생성된 시점이고, 1번 데이터의 값은 계속 갱신 됩니다.

즉 이전 데이터 (2번 데이터 이상)은 이미 과거의 값으로서 고정된 값이지만, 1번 데이터는 요청하는 시점(현재)의 값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무조건 외웁시다.

캔들 데이터의 1번 데이터는 가장 현재(조회시점) 가격 정보이다. 그중에서 종가(trade_price)가 현재 가격이다.

2번 데이터는 어제의 데이터
3번 데이터는 그저께 데이터

6. 마치며

종목별 캔들 데이터를 이용하면 우리는 거래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알수 있습니다.

다음 강의에서부터는 이렇게 받아온 캔들 데이터를 가공해서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imilar Posts